본문 바로가기

소비자물가지수 예상치 상회에 미국증시 혼조세

AlwaysChill 2024. 1. 12.
반응형

2024년 01월 12일 밤새 일어난 미국 증시를 발 빠르게 업데이트합니다. 다우, 나스닥 및 S&P500 지수의 변동 그리고 주요 섹터 및 종목에 대한 주요 뉴스를 업데이트해 드립니다. 꼭 필요한 뉴스만 간추려서 업데이트하니 맘 편히 밤새 일어난 미국 증시 뉴스를 챙겨가세요.

2024년 01월 12일 오늘의 미국증시
2024년 01월 12일 오늘의 미국증시

 

오늘의 미국증시 다우, 나스닥, S&P500 지수

 

DOW 지수 :. 0.04%(15.29) 오른 37711.0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다우지수
다우지수

 

NASDAQ 지수 : 0.00%(0.54) 오른 149070.2로 마감하였습니다. 

나스닥지수

 

S&P500 지수 : -0.07%(-3.21) 내린 4780.24로 마감하였습니다. 

S&P500 지수
S&P500 지수

 

RUSSELL 2000 지수 : -0.78%(-1.53) 내린 19.355로 마감하였습니다. 

러셀 2000 지수
러셀 2000 지수

 

다우-나스닥-S&P500지수-확인
다우 나스닥 S&P500지수 확인

 

반응형

 

전 섹터 종목 MAPS

기술과 에너지 섹터를 제외한 모든 섹터가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전 섹터 종목 MAPS
전 섹터 종목 MAPS

* 자료 출처 - finvz.com 

 

섹터-종목-MAPS-바로가기
섹터 종목 MAPS 바로가기

 

섹터별 대표 ETF 추세 

기술주 0.51%, 에너지주 0.26%로 두 섹터만 상승하였고, 나머지 섹터는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유틸리티주가 -2.33%로 가장 크게 하락하였고, 이어 부동산주가 -0.93%, 금융주가 -0.37%, 커뮤니케이션주 -0.33%, 원자재주 -0.30%, 산업주 -0.23%, 경기방어주 -0.13%, 헬스케어주 -0.07%, 경기민감주 -0.01% 순으로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섹터별 대표 ETF
섹터별 대표 ETF

 

미국증시 주요 이슈 요약

밤새 일어난 미국증시 뉴스를 정리합니다. 

 

- 뉴욕증시는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치를 웃돈 가운데 보합권에서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 11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S&P 500 지수는 3.21포인트(-0.07%) 하락한 4,780.24로 장마감했고, 나스닥종합지수 지수는 0.54포인트(0.00%) 보합을 유지한 14,970.18로 장마감했으며, 다우존스 지수는 15.29포인트(0.04%) 상승한 37,711.02로 장을 마쳤습니다.

- 또한 나스닥 100 지수는 27.86포인트(0.17%) 상승한 16,820.90으로 장마감했고, CBOE VIX 지수는 0.25포인트(-1.97%) 하락한 12.44로 장마감했으며, 러셀 2000 지수는 16.71포인트(-0.85%) 하락한 1,953.5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 이날 환율은 달러당 1317.5원이며, 이날 기준 미국 증시 상위 20개 종목에 대한 보관금액 총액은 59조 840억 원으로 이전 집계일 대비 3,308억 원 증가했습니다. 20개 종목 중 전일대비 보관금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종목은 1,351억 원 증가한 엔비디아, 가장 많이 감소한 종목은 692억 원 억 원 감소한 테슬라입니다.

- 나스닥지수는 전날까지 4 거래일 연속 올랐으며, 이날도 오름세를 보였으나 강보합세로 오름폭을 크게 낮췄습니다.

- 12월 물가 상승률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가중했습니다. 그러나 지수는 장 초반 약세를 보이다 낙폭을 줄이며 보합권으로 올라섰습니다.

- 인플레이션이 예상치를 웃돌았음에도 연준의 3월 금리 인하 기대는 유효하다는 판단이 강화됐기 때문입니다.

- 미국 노동부는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보다 0.3%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직전월 수치(0.1% 상승)와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0.2% 상승) 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 12월 CPI의 월간 상승률은 작년 9월 이후 약 석 달 만에 가장 컸습니다. 12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로는 3.4% 올라 전월치(3.1% 상승)와 WSJ 예상치 (3.2% 상승)을 상회했습니다.

-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은 전월 대비 0.3% 올라 전월과 시장 예상치와 같았습니다. 근원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9% 상승해 WSJ의 예상치 3.8%를 웃돌았으나 직전월 상승률인 4.0%보다는 살짝 낮았습니다. 근원 CPI는 인플레이션이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나 하락 속도는 예상보다 더딘 편입니다.

- 예상보다 강한 인플레이션 지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관망세를 길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 전날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제한적인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며,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를 향해 가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 정책 수준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라고 언급했습니다.

-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금리 인하는 경제가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달렸다면서도 올해 3월 금리인하는 "너무 이르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12월 인플레이션은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2%까지 지속 가능한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더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진단했습니다.

- 연준 당국자들의 매파적 발언에도 시장은 연준이 3월에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최근 들어 약세를 보여온 애플의 주가는 이날 0.3% 하락했습니다. 애플의 주가가 연초 이후 2% 이상 떨어지면서 이날 한때 마이크로소프트에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이날 0.5%가량 상승했습니다.

- 애플의 시총은 주가 하락에 한때 2조 8천710억 달러,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총은 주가가 장중 1% 이상 오르면서 한때 2조 8천750억 달러를 기록, 2021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애플의 시총을 넘어섰습니다.

- 연초부터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과도하다는 우려에 기술 기업들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나 최근 들어 기술주들은 반등을 모색 중입니다.

-투자자들은 다음날 예정된 기업들의 4분기 실적 발표도 주시하고 있습니다. 다음날에는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웰스파고 등 은행들의 실적이 대거 나올 예정입니다.

-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했다는 소식에 이날 장중 8% 뛰며 4만 9천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이더리움 가격도 이날 8% 이상 오르면서 2천600달러를 상회, 2022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마감 시점에는 비트코인 가격이 4만 6천 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 이날 거래소에 상장된 비트코인 현물 ETF 10종에 대한 거래량은 30억 달러가량에 달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거웠습니다. 특히 그레이스케일과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의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컸습니다.

- 사우스웨스턴 에너지의 주가는 체서피크 에너지를 74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2% 이상 하락했습니다. 체서피크 에너지는 3% 이상 올랐습니다. 구글의 주가는 엔지니어링과 하드웨어 부문 직원을 수백 명 감원한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0.1%가량 하락했습니다.

- 코인베이스의 주가는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에도 6% 이상 하락했습니다. 로빈후드의 주가는 3% 이상 떨어졌습니다. 암호화폐 채굴업체 마라톤 디지털 홀딩스의 주가는 12% 이상 하락했습니다.

-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은 여전히 현 인플레이션 추세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습니다. 또한 3월 금리 인하가 너무 이를 수 있다는 평가도 나왔습니다.

- LPL파이낸셜의 애덤 턴 퀴스트 기술전략가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뜨겁게 나왔지만, 투자자들은 주거비가 내려올 것이라는 생각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이날 지표는 인플레이션이 내려오고 있다는 시장의 기본 가정을 전혀 바꾸지 못했다며 시장의 조용한 반응은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추세에 대해 시장이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습니다.

- 그러나 핌코의 티파니 와일딩 이코노미스트는 오늘 지표는 공급망 정상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둔화가 결국 사라질 순풍이었음을 재확인해준다며 올해의 인플레이션 둔화 과정은 더 느리고 복잡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번 지표는 연준이 3월에도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크며 올해 중반에나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자사 견해를 바꾸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오는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74.3%를 기록했습니다. 0.25% 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은 70.9%, 0.50% 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은 3.4%에 달했습니다.

-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25포인트(1.97%) 하락한 12.44를 기록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미국증시 시황 소식을 전해 드렸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