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42

2분기 GDP 개선에도 지수 큰 변동폭에 미국증시 혼조세 2024년 07월 26일 밤새 일어난 미국 증시를 발 빠르게 업데이트합니다. 다우, 나스닥 및 S&P500 지수의 변동 그리고 주요 섹터 및 종목에 대한 주요 뉴스를 업데이트해 드립니다. 꼭 필요한 뉴스만 간추려서 업데이트하니 맘 편히 밤새 일어난 미국 증시 뉴스를 챙겨가세요. 오늘의 미국증시 다우, 나스닥, S&P500 지수 DOW 지수 : 0.20%(81.20) 오른 39935.1로 마감하였습니다. NASDAQ 지수 : -0.93%(-160.69) 내린 17181.7로 마감하였습니다. S&P500 지수 : -0.51%(-27.91) 내린 5399.22로 마감하였습니다. RUSSELL 2000 지수 : 1.25%(2.72) 오른 220.57로 마감하였습니다.   전 섹터 종목 MAPS섹터별로 혼조세를 ..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4. 7. 26.
기타 보조지표 활용하기 2 (이격률, 삼선전환도) 이번 시간은 기타 지표 활용하기 2탄으로 이격률과 삼선전환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격률 이격률은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측정하여 투자판단에 활용하는 지표입니다.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면 이동평균선으로 회기하고, 이동평균선에 수렴하고 나면 다시 멀어지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부터 지나치게 멀어져 높게 형성되면 매도시점으로 보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이 떨어지면 매수시점으로 보는 투자기법입니다. 보통 20일 이격률을 가장 많이 활용합니다. 이격률 계산방법​ 이격률 활용방법 1. 대세가 상승하는 강세국면일 경우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할 때 : 90% 이하 => 매수 108% 이상 => 매도 ​ 6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할 때..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10. 23.
기타 보조지표 활용하기 1 (투자심리선) 그래프를 클릭하면 주가와 거래량 그리고 이동평균선이 나오는데, 이를 다른 차트와 구분하기 위해서 기본차트라고 합니다. 이 기본차트 이외에 다양한 보조차트가 있는데 보조차트는 '차트' 창의 지표/유형 목록에서 사용자가 직접 클릭해야 볼 수 있습니다. 그 밖의 보조지표 투자심리선에 대해 알아봅니다. ​ 투자심리선 증권시세는 인간의 심리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가가 최근 며칠 동안 상승만을 계속했다면 일반투자자들은 어느 정도의 조정을 예상하면서 조심스럽게 매도주문을 냅니다. 또한 주가가 연속 하락하였을 때는 반등을 예상하고 매수주문을 냅니다. 이러한 투자자들의 심리를 이용한 것이 투자심리선입니다. 최근 일정 기간(보통 10일 기준) 동안 주가가 상승한 날의 백분율을 이용하여 주가가 과열인지 침체..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10. 22.
볼린저밴드 활용법 4가지 (매매방법 포함) 볼린저밴드 활용방법 4가지 1. 밴드폭을 이용한 매매방법 1) 밴드폭이 좁은 경우 주가가 횡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주가가 상승이나 하락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가의 횡보기간이 길수록 주가의 탄력성은 큰폭으로 증가합니다. 밴드폭이 극도로 좁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면 주가를 예의주시하다가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매매하면 됩니다. 이때 스토캐스틱, MACD, 일목균형표 등의 보조지표를 활용하면 주가 방향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습니다. ​ 2) 밴드폭이 과도하게 넓은 경우 주가가 추세를 가지고 진행되어 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밴드의 폭이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2. 밴드 이탈은 새로운 추세 전개를 의미한다. 밴드를 벗어나면 주가는 새로운 추세로 전개되므로..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10. 21.
볼린저밴드의 개념 및 활용하기 볼린저 밴드의 개념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 볼린저밴드란?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면서 변하지만 통계적으로 보면 중심선인 이동평균선을 따라 일정한 밴드 범위 안에서 움직입니다. 이와 같이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주가가 움직인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위쪽에 상한 밴드, 아래쪽에 하한밴드를 만들면 가격변동폭의 띠가 형성되는데 이를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라고 합니다. 존 볼린저(Jonh Bollinger)가 자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것입니다. 볼린저밴드 이론에 따르며, 주가가 큰 폭의 등락을 보이지 않고 횡보하면 주가의 표준편차 값이 작아지고 다라서 밴드의 폭도 좁아집니다. 반대로 주가가 뚜렷한 상승추세와 뚜렷한 하락추세를 가지고 움직이거나 급등락 과정을 ..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