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전쟁 및 경기 침체 우려에 미국증시 하락
2025년 03월 05일 밤새 일어난 미국 증시를 발 빠르게 업데이트합니다. 다우, 나스닥 및 S&P500 지수의 변동 그리고 주요 섹터 및 종목에 대한 주요 뉴스를 업데이트해 드립니다. 꼭 필요한 뉴스만 간추려서 업데이트하니 맘 편히 밤새 일어난 미국 증시 뉴스를 챙겨가세요.
오늘의 미국증시 다우, 나스닥, S&P500 지수
DOW 지수 : -1.55%(-670.25) 내린 42521.0으로 마감하였습니다.
NASDAQ 지수 : -0.35%(-65.03) 내린 18285.2로 마감하였습니다.
S&P500 지수 : -1.22%(-71.57) 내린 5778.15로 마감하였습니다.
RUSSELL 2000 지수 : -1.13%(-2.36) 내린 206.42로 마감하였습니다.
전 섹터 종목 MAPS
모든 섹터가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자료 출처 - finvz.com
섹터별 대표 ETF 추세
전 섹터가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금융주가 -3.52%로 가장 크게 하락했으며, 이어 산업주가 -1.95%, 경기방어주 -1.76%, 경기민감주 -1.70%, 유틸리티주 -1.63%, 원자재주 -1.36%, 부동산주 -1.15%, 에너지주 -0.97%, 헬스케어주 -0.93%, 커뮤니케이션주 -0.79%, 기술주 -0.08% 순으로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미국증시 주요 이슈 요약
밤새 일어난 미국증시 뉴스를 정리합니다.
- 뉴욕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가 롤러코스터 흐름을 보인 끝에 또다시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의 모든 수입품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가 이날부터 발효된 가운데 대상국들이 보복에 나서면서 관세 전쟁이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시장을 짓눌렀습니다.
- 트럼프의 고율 관세가 발효되면서 일단 불확실성은 제거됐다는 분석에 장 중 저가 매수세가 활발히 유입됐으나 장 마감 30여분을 앞두고 매도 물량이 대거 집중되면서 주가지수는 다시 낙폭을 확대했습니다.
- 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71.54포인트(-1.22%) 하락한 5,778.18로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 지수는 65.03포인트(-0.35%) 하락한 18,285.16으로 장마감했으며,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는 669.58포인트(-1.55%) 하락한 42,521.66을 기록했습니다.
- 또한 나스닥 100 지수는 73.06포인트(-0.36%) 하락한 20,352.53으로 거래를 마쳤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 지수는 0.73포인트(3.20%) 상승한 23.51로 장마감했으며, 러셀 2000 지수는 19.93포인트(-0.95%) 하락한 2,083.92를 기록했습니다.
- 현재 환율은 달러당 1455.0원이며, 이날 기준 미국 증시 상위 50 종목에 대한 보관금액 총액은 108조 6,383억 원으로 이전 집계일 대비 3조 2,277억 원 감소했습니다.
- 이날 증시는 말 그대로 롤러코스터를 탔습니다. 3대 주가지수는 모두 장 중 -2% 안팎까지 낙폭을 확대하며 관세전쟁 공포를 반영했으나 장 중 저가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면서 나스닥 지수는 한때 1.30%까지 상승 전환하기도 했고 S&P500 지수도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 하지만 장 마감 30여분을 앞두고 갑자기 매물이 대거 쏟아지면서 주가지수는 급전직하, 결국 3대 주가지수는 모두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나스닥 지수의 경우 막판 30분간 낙폭이 260포인트에 달했습니다.
- 시장의 불안한 움직임에는 관세 전쟁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과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가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의 모든 수입품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는 이날부터 발효되기 시작했고 대상국들은 즉각 보복에 나섰습니다.
-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의 관세 부과에 "어리석은 짓"이라며 300억캐나다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맞불 보복 관세를 즉각 발효하기로 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방침도 공개했습니다.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미국이 부과한 관세와 관련, "오는 일요일 관세 및 비관세 조치에 대응하기로 했다"며 트럼프와 이번 주 통화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중국 또한 트럼프가 중국산 수입품에 총 2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이날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일부 미국 제품에 최대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 하지만 트럼프가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 재보복에 나서겠다고 압박하면서 관세정책의 향방은 오리무중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이날 캐나다의 대응에 "그가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면 우리의 상호 관세는 즉각 그만큼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CFRA리서치의 샘 스토발 수석 투자 전략가는 "지금 증시의 조정은 조건부 조정이라고 부르겠다"며 "실제로는 한 가지 조건에 근거를 두는데 그것은 트럼프가 관세를 얼마나 유지할 것이냐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콜베이인베스트먼츠의 클라크 게라넨 수석 시장 전략가는 "우리는 관세가 협상 전략일 뿐이고 길고 지루한 상호 무역전쟁의 시작이 아니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며 "그래도 이런 상황에서는 투자자들이 일단 먼저 매도하고 나중에 질문한다"라고 말했습니다.
- 이날 주요 경제지표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주요 소매업체인 타겟이 실망스러운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소비심리 악화 추세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줬습니다.
- 타겟의 짐 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2월 매출이 부진했고 소비자 신뢰 하락이 임의 소비 지출에 영향을 줬다"며 "올해 기대치를 신중하게 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주요 인사도 관세 강행과 경기 성장률에 대한 우려를 내놨습니다.
-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공개 발언에서 "나는 일부 관세의 영향이 인플레이션,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명히 고려하고 있다"면서 "올해 나중에(later this year) 효과의 일부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 최근 소비자 설문조사에서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한 데 대해서도 "그것은 면밀히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지난 2018~19년을 돌이켜 보면 관세는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높였다고 덧붙였습니다.
- 업종별로 보면 기술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습니다. 금융은 3.54%의 낙폭으로 가장 저조했고 유틸리티와 부동산, 소재, 산업, 임의소비재, 필수소비재도 1%대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 금융업종에선 JP모건체이스가 4% 하락했고 뱅크오브아메리카는 5.19%, 웰스파고는 4.84% 떨어졌습니다. 이날 금융업종의 주가 낙폭은 2023년 지역은행 위기 이후 하루 최대 손실폭이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미국 자동차 업체들도 약세를 보였습니다. GM과 포드는 각각 3% 안팎으로 떨어졌습니다.
- 거대 기술기업들은 혼조 양상을 보였습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은 보합권을 형성했습니다. 테슬라는 4% 넘게 떨어졌고 메타플랫폼스도 2.30% 내렸습니다.
- 테슬라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차량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50% 급감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하방 압력을 받았습니다. 반면 엔비디아와 알파벳은 2% 안팎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가전 판매점 베스트바이는 관세 정책으로 소비자들의 가격 부담이 더 커질 것이라고 코리 배리 최고경영자가 말한 뒤 주가가 13% 급락했습니다.
-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상반기에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17.7%까지 내려갔습니다. 대신 상반기 내 25bp 인하 확률은 50.9%, 50bp 인하 확률은 29.5%까지 올랐습니다.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이 오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73포인트(3.20%) 오른 23.51을 기록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미국증시 시황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주식 이야기 > 미국 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 투매 증가로 미국증시 하락 (1) | 2025.03.07 |
---|---|
트럼프 관세 일부 유예 소식에 저가 매수세 미국증시 상승 (1) | 2025.03.06 |
트럼프 캐나다, 멕시코 관세 25% 부과에 미국증시 하락 (1) | 2025.03.04 |
[주간 전망] 3월 1주 차 주간 전망 및 주요 일정 총 정리 (1) | 2025.03.03 |
트럼프 젤렌스키 종전 협상, PCE 예상 부합 미국증시 상승 (0) | 202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