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42

이동평균선의 종류 2. 거래량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의 종류 2. 거래량 이동평균선 거래량 이동평균선도 주가 이동평균선과 마찬가지로 기간별로 거래량의 평균을 내서 그립니다. 주가 이동평균선과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대체로 같은 추세로 움직인다고 보면 됩니다. 특별히 거래량 이동평균선이 주가 이동평균선과 반대로 움직일 때, 예를 들어 주가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는데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하락하는 경우에는 상승 중인 주가 이동평균선의 변화를 예고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5일과 20일 선을 주로 이용합니다. ​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관계 1) 강세 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서 파동을 그리며 상승합니다. 강력한 상승추세를 보이는 주가는 5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등락하며, 5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하지 않습니다. ​ 2) 약세시장에서..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26.
이동평균선의 종류 1. 주가 이동 평균선 이동평균선이란? 투자자가 이용 가능한 기술적 지표 가운데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알기 쉬운 지표 중 하나가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은 변화무쌍한 주가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기간별 평균 주가를 산출하여 선으로 이어 그린 선그래프를 말합니다. 앞에서 배운 봉차트와 마찬가지로 그래프의 기본이라 할 수 있으며, 투자판단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그래프입니다. 시장참가자들의 기업가치(또는 시장가치)에 대한 평균적인 합의를 반영하고 있는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방향성과 변곡점을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미래 주가 동향을 예측하는데 많이 사용합니다. 반면에 이동평균선의 단점도 있습니다.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 주가를 평균하여 만든 차트이므로 후행성 지표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대형주에 비해 ..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25.
팬의 원리 및 갠의 이론 팬의 원리란 무엇인가? 추세 전환은 일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을 차트로 보면 부챗살 같은 팬의 모양이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추세를 이탈한 파동이 다시금 지지나 저항을 받아 나타나는 일종의 되돌림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점에서 수직선과 수평선을 그리면 1차적으로 38.2도, 50도, 61.8도 비율로 차례로 지지선과 저항선이 만들어집니다. (피보나치 수열을 참고하세요) 팬의 원리를 이용하면 주가의 변동폭과 되돌림의 폭을 예측해 볼 수 있어 상승목표치와 하락목표치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부 그래프에서만 나타나는 모양이므로 모든 차트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수학자인 피보나치(E. Fib..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24.
추세형성 기간에 따른 추세선 분류 및 활용 요령 추세 형성 기간에 따른 추세선의 분류 추세는 추세 형성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추세, 중기추세, 소추세로 나누어집니다. 주추세 속에 중기추세가 있고, 중기추세 속에 소추세가 있습니다. ​ 1. 주추세(Major Trend) : 일반적으로 1~3년간 지속되는 장기추세를 말합니다. 2. 중기추세(Intermediate Trend) : 대략적으로 1~3개월 정도 이어지는 중기추세를 말합니다. 3. 소추세(Miner Trend) : 대략 1~3주간 지속되는 단기추세를 말합니다. ​ 주추세 속에 있는 중기추세와 소추세 ​ 위 그림에서 직선 A-B가 주추세라면 A-1-2-B는 중기추세이고, A-a-b-1-c-d-2-e-f-B는 소추세에 해당합니다. 주추세, 중기추세, 소추세를 확인할 때는 일봉 외에도 주봉과 월..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23.
추세선 기울기 및 최소 목표치를 이용한 매매법 이전 시간까지는 추세의 전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추세의 방향은 유지되면서 기울기가 더욱 완만해지는 경우에 대해 알아봅니다. 추세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매매방법1) 추세의 기울기가 종전의 추세보다 가팔라지는 경우조만간 추세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완만하게 오르던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은 투자자들이 흥분한다는 것을 뜻하고, 이는 곧 추세의 전환을 예고한다 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지금까지의 매수세력들이 그동안 매집한 물량을 털고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상승추세선의 기울기가 가팔라지면 매도를 검토하고 있다가 가파른 추세선을 이탈하면 매도합니다. 특히 고점에서 거래량이 급증할 때는 매도해야 합니다. 그러나 완만한 상승추세가 가파른 추세로 바뀌는 초입에는 단타매매를 하는 투자자..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