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42

연결봉으로 추세 확인하기 4탄 - 추세지속형 오늘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 연결봉으로 추세 확인하기 중 추세지속형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추세지속형 중 상승지속갭 및 하락지속갭, 상승 및 하락 삼법형, 상승 및 하락 격리형의 형태 및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추세지속형다음과 나올 모양의 봉이 출현하면 추세가 이어진다고 봅니다. 이 경우 파생상품과 현물 주식 모두 추세에 순응하는 포지션은 계속 보유하고 추세에 맞는 포지션을 추가로 설정합니다. 추세에 역행하는 포지션이라면 정리하여 현금화해 두어야 합니다. 현물에 집중해서 최대한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여러군데 분산하면 집중도가 확실히 떨어지게 됩니다. 주식을 제대로 공부하고 어느정도 익숙해 진 이후에 파생상품에 관심을 가져도 늦지 않다고 봅니다. ​갭(GAP)갭이란 인접한 두 개..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15.
연결봉으로 추세 확인하기 3탄 - 하락반전형 오늘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 하락반전형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락망치형, 하락도지형 및 흑병등의 형태 및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락반전형이란?상승하던 주가 흐름 중에 다음과 같은 하락반전형 연결봉이 출현하면 주가는 하락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파생상품의 경우 상승에 베팅을 둔 투자자라면 리스크 관리를 위해 일단 포지션을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주식의 경우도 매도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고, 매수는 보류하고 시세를 좀 더 관망한 후에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하락장악형의 종류​1) 하락장악형상승추세에서 강력한 음봉이 출현하여 직전의 양봉을 덮은 경우입니다. 강력한 매도 세력이 전날의 매수세력을 압도적으로 장악한 경우이므로 추세가 하락으로 전환될 때 자주 출현합니다.  ​2) 강..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14.
연결봉으로 추세 확인하기 2탄 - 상승반전형 2 오늘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 상승반전형의 종류를 추가로 알려드립니다. 상승망치형, 상승도지형 및 적삼병등의 형태 및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상승반전형 - 21) 상승망치형하락 추세에서 긴 아래꼬리가 달린 짧은 양봉(또는 음봉)이 출현한 모양으로 종가가 전일의 음봉 종가보다 더 높은 곳에 있어야 합니다. 망치같이 생겼다고 해서 망치형(Hammer)이라 부르고 중요한 상승 전환으로 간주합니다. 양봉이 이상적이지만 음봉일 경우도 있고 망치를 거꾸로 둔 것과 같은 역 망치형도 있지만 모두 종가가 전일의 종가 위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2) 상승도지형 하락 추세에서 전일의 종가가 지지되는 십자(+) 모양의 봉이 도지라 합니다. 도지가 발생했다는 것은 그간 시장을 주도해 온 매도 세력..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12.
연결봉으로 추세 확인하기 1탄 - 상승 반전형 이번 포스팅은 캔들 차트 중 연결봉으로 추세를 확인하는 방법 중에 상승 반전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결봉이 왜 필요하고 중요한지 그리고 상승 반전형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결봉으로 추세를 확인하는 이유 단순히 봉하나의 모양으로만 주가를 예측하는 것은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어떠한 추세인지 어떠한 봉 다음에 지금의 봉이 나왔으며 그에 따라 어떻게 해석이 되는지?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가를 예측함에 있어 앞뒤로 이어지는 여러 개의 봉이 좀 더 정확도가 높을 것입니다. 봉을 공부하는 이유는 앞으로의 추세가 그대로 갈 것인지? 추세가 반전이 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봉 모양이 출현했을 때 추세 반전형인지 추세 지속형인지를 판단하..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2. 9. 10.
봉 차트(캔들 차트) 이해하기 3탄 - 도지란? 이번 시간에는 캔들 차트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도지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도지가 발생하는 상황과 어떠한 형태의 도지가 있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도지란? 시가와 종가가 같은 형태로 양봉도 아닌 음봉도 아닌 윗꼬리, 아랫꼬리 및 선으로만 표시되는 형태를 말합니다. 매도 세력과 매수세력이 장중에서는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다 장 마지막에는 균형을 이루어 나타나는 봉 모양입니다. ​ 2. 도지가 발생하는 2가지 상황 1) 주가가 급등 후 도지가 발생하면 매수세력의 힘이 떨어지는 경우로 하락 추세 반전으로 예상합니다. 2) 주가가 급락 후 도지가 발생 시 매도 세력의 힘이 떨어지는 경우로 상승 추세 반전이 예상됩니다. 3. 도지의 종류 1) 키다리형 도지 기본 도지 형태에 가깝습니다... 주식 이야기/주식 차트 이야기 2021.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