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 단기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통한 매매

AlwaysChill 2022. 9. 28.
반응형

장. 단기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보고 매매시점 판단하기

 

지금까지는 이동평균선과 주가의 모양을 보고 투자판단을 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주가와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보고 투자판단을 합니다.

1) 정배열

위로부터 주가, 단기 이동평균선, 중기 이동평균선, 장기 이동평균선 순으로 나란히 상승 중일 경우, 전형적인 정배열 상태입니다. 주가와 장단기 이동평균선이 정배열되어 있다는 것은 손실을 보고 있는 투자자 없이 모두가 이익을 보고 있다는 뜻이므로 매물 부담이 적어 상승추세가 이어진다고 봅니다.

포인트) 안심하고 매수 또는 보유, 매도는 매도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 보류

2) 골든크로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급속히 상향 돌파할 때 발생하는 모양으로, 이런 모양이 나타날 때 주식을 매수하면 황금을 얻는 것과 같이 좋은 매수 시점이 된다는 뜻에서 황금 십자가(Golden Cross)라고 부릅니다.

포인트) 매수, 특히 주가가 바닥일 때 나타나면 적극 매수

3) 역배열

위로부터 장기 이동평균선, 중기 이동평균선, 단기 이동평균선, 주가 순으로 나란히 하락 추세에 있을 경우, 정배열의 반대 모양으로 전형적인 역배열 상태입니다. 대부분의 투자자가 손실을 입고 있는 경우이므로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면 상승으로 전환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보아야 합니다.

포인트) 매도하되 매수는 매수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 보류

4) 데드크로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급속히 하향 돌파할 때 발생하는 모양으로, 이때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안 된다는 뜻으로 죽음의 십자가(Dead Cross)라 부릅니다.

포인트 매도) 특히 주가가 천정일 때 나타나면 적극 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해석된다.

골든크로스란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 돌파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황금 십자가라는 말 그대로 가장 좋은 매수시점이라는 뜻입니다. 특히 주가가 바닥상태일 때 나타나면 더욱 좋은 매수 시점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 돌파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럴 때 주식을 사면 죽는다고 해서 죽음의 십자가란 말이 붙었습니다. 특히 주가가 천정권일 때 발생하는 데드크로스는 좋은 매도시점이 될 수 있습니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일반적으로 매수 또는 매도 시점 파악에 많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차트분석 기법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나 과거의 경험으로 볼 때 모든 골든크로스가 매수시점은 아니었고, 모든 데드크로스가 매도시점도 아니었습니다. 대세가 강세시장이냐 약세시장이냐에 따라 정반대로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강세시장에서의 데드크로스는 상승추세 속에서 조정기가 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매수시점이 될 수 있습니다.(역 데드크로스). 또한 약세시장에서 나타나는 골든크로스는 오히려 매도시점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역 골든크로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일봉에서 5일 이동평균선과 20일 이동평균선이 데드크로스를 그리더라도 10일, 200일 이동평균선이 상승추세를 계속하고 있다면 데드크로스는 오히려 매수시점으로 보아야 합니다. 또한 20일 이동평균선이 6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골든크로스가 나타나더라도 중장기 선인 120일, 200일 이동평균선이 하락을 계속하고 있다면 매도시점으로 보아야 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5일선과 20일선이 60일선을 하향 돌파하는 데드크로스가 발하였지만 60일선과 12일선이 상승추세이므로 오히려 매수시점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20/5일, 그리고 60/20일 이동평균선이 골든크로스를 그리고 있지만 중장기 이동평균선인60일선과 120일선이 하락추세에 있으므로 오히려 매도시점이 되고 있습니다.

모든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을 보유하고 있고 그 힘은 질량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데서 비롯된 그랜빌의 이론에 따르면, 이동평균선은 장기일수록 그 질량이 크므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과 같은 방향일 때는 추세가 강화되고 서로 다른 때는 보다 힘이 센 장기선의 방향으로 단기선이 끌려간다고 합니다.

이상입니다.

출처 : 차트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반응형

댓글

AlwaysChill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