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전망] 2월 3주 차 주간 전망 및 주요 일정 총정리
2025년 2월 3주 차 꼭 확인하고 넘어가야 할 주요 이벤트에 대해 정리합니다. 주요 이벤트 및 일정에 맞춰 투자 계획을 세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금주 전망
- 이번 주(17~21일, 이하 미 동부시간) 뉴욕 주식시장은 대형 경제지표 부재 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에 좌우될 것으로 보입니다.
- 대형 경제지표는 없지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이 발표하는 미국 2월 제조업ㆍ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21일) 예비치 정도는 시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릅니다.
- 1월 예비치의 경우 전달 대비 제조업은 확장으로 전환했지만, 서비스업은 둔화하는 엇갈린 결과가 나왔습니다. 투자자는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큰 서비스업 둔화에 더 무게를 실었고, 시장에 충격이 가해졌습니다.
- 이보다 하루 전인 20일에 나오는 월마트의 4분기 실적에도 시장의 이목이 쏠립니다. 월마트 실적은 미국 경제활동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에 대한 간접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 밀러 타복의 수석 시장 전략가인 매트 말리는 "그들의 수치와 가이던스보다는 소비자에 대해 무엇을 알려주는지 중요하다"면서 "관세에 대한 걱정으로 지출을 다시 보게 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금주 주요 일정 및 연설
- 대형 경제지표 부재 속 첫날인 17일은 미국 '대통령의 날'로 휴장을 합니다.
- 다음 날인 18일에는 2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발표가 있습니다.
- 19일에는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가 예정돼 있습니다. 당시 FOMC는 만장일치로 연방기금금리(FFR)를 동결했습니다. 이번 의사록에서 새로운 정보가 나올 가능성은 적습니다.
-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의 주요 인사 대부분은 '고용시장은 건강하고 인플레이션은 더 진전돼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큰 만큼 지켜보겠다'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지난 12일 의회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 목표에 가까워졌지만, 아직 달성하지 못했다"면서 "지금은 제약적인 정책을 유지하고 싶다"라고 밝혔습니다.
-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14일)에 코멘트를 남긴 로리 로건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더 나은 물가 데이터가 나오더라도 금리 인하는 신중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 20일에는 2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등이 나옵니다.
- 마지막 거래일인 21일에는 앞서 언급한 S&P글로벌 PMI 예비치 외에 2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확정치가 나옵니다. 이번 주에는 경제지표보다는 주요 인사의 '입'이 시장을 좌우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 우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은 언제나 시장에 긴장을 주는 재료입니다. 특히, 관세 정책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관련 코멘트 등에 관심이 모입니다.
- 연준 주요 인사의 발언도 많습니다.
- 17일에는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미셸 보먼 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등이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냅니다.
- 18일에는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와 마이클 바 연준 감독 담당 부의장이 예정돼 있다. 바 부의장은 감독 담당인 만큼 통화정책 관련 언급은 거의 하지 않습니다.
- 19일에는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연설이 있습니다.
- 20일에는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바 연준 부의장,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 등이 연단에 오릅니다.
- 마지막 날(21일)에는 제퍼슨 연준 부의장이 마이크를 잡습니다.
- 미국 이외의 경제지표로는 1월 영국 소비자물가지수 (19일) 정도가 눈여겨볼 만합니다.
- 기업 실적 발표로는 리오틴토(19일), 월마트(20일),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HSBC, 스탠다드차타드(이상 21일) 등이 있습니다.
주요 일정 및 연설 요약
일정 | 내용 |
2월 17일 | 미국 대통령의 날 휴장 |
-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 미셸 보먼 연준 이사 연설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
|
2월 18일 | 2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
-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 -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 |
|
2월 19일 | - 1월 FOMC 의사록 - 1월 주택 허가 |
-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연설 - 리오틴토 실적발표 |
|
2월 20일 | - 2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
-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 -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 - 아드리아나 구글러 연준 이사 연설 -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 - 월마트 실적발표 |
|
2월 21일 | - 2월 S&P글로벌 제조업ㆍ서비스업 PMI 예비치 - 2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확정치 - 1월 기존주택 판매 |
-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연설 -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HSBC, 스탠다드차타드 실적발표 |
이상으로 2025년 2월 3주 차 금주 주간 전망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주식 이야기 > 미국 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파적 FOMC 의사록에도 S&P500 최고치 미국증시 상승 (2) | 2025.02.20 |
---|---|
러시아 우크라이나 종결 협상 강보합 미국증시 상승 (1) | 2025.02.19 |
연기된 관세 및 인플레이션 향방 눈치보며 미국증시 혼조세 (0) | 2025.02.15 |
트럼프 상호관세 연기로 불안감 해소 미국증시 상승 (1) | 2025.02.14 |
1월 CPI 예상치 상회에 큰 변동성 보이며 미국증시 혼조세 (0) | 2025.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