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목균형표 활용하기
일목균형표는 지금의 주가 추세가 어느 시점에 가서 변동될 것인가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일목균형표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일목균형표란?
일목균형표가 지금까지 배운 분석 기법과 다른 점은 미래 주가 예측에 시간 개념을 적용한다는 것입니다. 즉, 여타 분석 기법은 주가 또는 주가와 거래량으로 분석 기법을 만든 데 반해 일목균형표는 시간 개념을 적용해 만든 것이 특징입니다. 한마디로 주가 추세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변한다는 점을 착안한 분석 기법입니다.
일목균형표의 법칙
일목균형표 이론을 만든 이치모쿠 산징은 과거 수많은 시세 파동을 분석한 결과 한 추세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추세 변화가 예상되는 시점은 기본적으로 일정한 수열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면 일봉 차트에서 오늘 상승추세가 시작되었으면 9일 혹은 17일 후에는 하락세로 바뀌든가 아니면 급등세로 바뀌는 변화가 온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입니다. 또 주봉의 경우 만약 첫 번째 주에 주가가 하락하였다면 9주 혹은 17일 후에는 새로운 추세, 즉 상승으로 전환되든가 아니면 급락세가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일목균형표의 활용방법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이치모쿠는 주가 변곡점이 되는 수열로 '9(1절), 17(2절), 26(3절=1기), 33, 52, 76(3기=1순), 129, 172, 226(3순=1환)...'을 제시하고 이를 기본 수치라 하였습니다. 기본 수치에서 시간 된 위 '절'은 일에 해당하고, '기'는 월에 해당하며, '순'은 분기, '환'은 연에 해당하는 기간 단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엘리어트 주가의 중장기 분석에 이용한 피보나치수열이 수학자 피보나치가 이집트 피라미드를 연구하다 발견한 신비의 숫자라면, 이치모쿠가 발견한 수열은 과거 주가 움직임을 분석한 결과를 찾아낸 통계적 숫자입니다.
이치모쿠는 또한 기본 수치 외에 주가가 상승하는 데 걸린 시간과 하락하는 데 걸린 시간이 같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대등 수치라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 상승이 2개월 지속되었다면 하락하는 기간도 상승 기간에 비례하여 2개월 소요된다는 것입니다. 일목균형에서 '균형'이라는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하는 점입니다.
참고사항
* 일목균형표는 일본인 차트분석가 이치모쿠 산징이 신동전환선이라는 내용으로 일목균형표 이론을 신문에 소개하면서 세상에 알려진 분석 기법입니다. '일목'은 자신의 이름을 딴 것이고 '균형'은 밸런스라는 뜻이며 '표'는 차트라는 뜻입니다.
* MACD와 스토캐스틱 그리고 일목균형표는 전문가들도 많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지표들입니다. 개인투자자들도 이 세 가지 보조지표를 완전히 이해하고 자기 것으로 만든 후 실전에 활용하면 투자 성공률이 한 단계 높아진 것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출처 : 차트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주식 이야기 > 주식 차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목균형표 활용법 4가지 (1) | 2022.10.19 |
---|---|
일목균형표 작성 원리 (0) | 2022.10.18 |
스토캐스틱 활용법 3 (0) | 2022.10.14 |
스토캐스틱 활용법 2 (0) | 2022.10.13 |
스토캐스틱 활용법 1 (0) | 2022.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