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는 애플 4%대 급락과 기술주 하락으로 미국증시 하락
2025년 01월 17일 밤새 일어난 미국 증시를 발 빠르게 업데이트합니다. 다우, 나스닥 및 S&P500 지수의 변동 그리고 주요 섹터 및 종목에 대한 주요 뉴스를 업데이트해 드립니다. 꼭 필요한 뉴스만 간추려서 업데이트하니 맘 편히 밤새 일어난 미국 증시 뉴스를 챙겨가세요.

오늘의 미국증시 다우, 나스닥, S&P500 지수
DOW 지수 : -0.16%(-68.42) 내린 43153.1로 마감하였습니다.

NASDAQ 지수 : -0.89%(-172.95) 내린 19338.3으로 마감하였습니다.

S&P500 지수 : -0.21%(-12.57) 내린 5937.34로 마감하였습니다.

RUSSELL 2000 지수 : 0.20%(0.45) 오른 224.49로 마감하였습니다.


전 섹터 종목 MAPS
섹터별로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하였습니다.

* 자료 출처 - finvz.com

섹터별 대표 ETF 추세
섹터별 혼조세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유틸리티주가 2.53%로 가장 크게 상승했으며, 이어 부동산주 2.24%, 산업주 1.21%, 원자재주 0.83%, 경기미감주 0.75%, 에너지주 0.72%, 금융주 0.67%, 헬스케어주 0.40% 순으로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반면 기술주가 -0.77%로 가장 크게 하락하였고, 이어 커뮤니케이션주 -0.57%, 경기방어주 -0.54% 순으로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미국증시 주요 이슈 요약
밤새 일어난 미국증시 뉴스를 정리합니다.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 12월 미국 소매판매가 예상치를 밑돌았으나 핵심 수치는 견고한 모습을 보이면서 시장에 미친 충격은 제한적이었습니다. 다만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이 작년 8월 이후 최대 낙폭을 그리면서 나스닥은 1%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 1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8.42포인트(0.16%) 내린 43,153.13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2.57포인트(0.21%) 밀린 5,937.34, 나스닥종합지수는 172.94포인트(0.89%) 떨어진 19,338.29에 장을 마쳤습니다.
- 미국 12월 소매판매는 기대에는 못 미쳤으나 양호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습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12월 미국의 소매판매(소매 및 식품 서비스 부문)는 7천292억 달러로 계절 조정 기준 전달 대비 0.4% 증가했습니다. 직전월 수정치 0.8%와 시장 예상치 0.6%는 밑돈 수치입니다.
- 하이프리퀀시이코노믹스의 칼 와인버그는 "일부 주요 수치가 실망스러웠지만 국내총생산(GDP) 추정치에 반영되는 수치들은 견고했다"며 "이번 보고서를 보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시급하게 금리를 내릴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캐피털이코노믹스의 폴 애쉬워스 북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2월 소매판매는 실제로 우리의 4분기 미국 GDP 성장률 추정치를 2.7%에서 2.9%로 끌어올릴 만큼 강력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 이 같은 평가에서 읽히듯 소비 지표는 이날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소매 지표 발표 직후에도 주가지수 선물은 제자리를 지켰고 개장 후에도 증시는 큰 폭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 다만 전날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차익실현 욕구에 주가지수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나스닥은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 위주로 매물이 나온 데다 마감 1시간 전 매물이 쏟아지면서 유독 낙폭이 컸습니다.
- 애플이 4% 이상 하락하며 작년 8월 5일 4.82% 급락한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한 점이 눈에 띕니다. 애플은 이날 뚜렷한 악재가 없어 시장의 궁금증을 자극했습니다. 애플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 중 수익률이 가장 저조합니다.
- 테슬라도 3% 넘게 떨어졌고 엔비디아와 아마존, 알파벳도 1% 이상 하락했습니다. 기술주 매도 흐름이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 전반에 퍼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TSMC는 호실적에 힘입어 3.86% 뛰었고 ASML도 3.30% 오르며 낙관적인 분위기를 공유했습니다. 램리서치와 KLA,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도 4% 이상 올랐습니다.
- 주요 은행의 호실적에 우량주도 하방 지지력이 좋았습니다. 모건스탠리는 예상치를 웃돈 작년 4분기 실적에 주가가 4% 이상 뛰었고 골드만삭스도 1% 이상 올랐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호실적을 기록했으나 약보합을 보였습니다.
- 금융정보업체 팩스셋에 따르면 이날까지 4분기 실적 보고를 마친 기업의 77%가 시장 기대를 뛰어넘었습니다.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 지명자는 이날 연방 상원 재무위원회 인준 청문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공약은 다른 나라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기 위한 조치라며 협상 도구로 활용할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이날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지표가 뒷받침한다면 올해 금리인하는 25bp씩 최대 3번에서 4번까지 가능할 것"이라며 "3월 인하도 완전히 배제될 수 없고 많은 진전이 있다면 더 많은 금리인하도 가능하다고 본다"라고 말했습니다. 월러는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강경 매파로 분류됐던 인물입니다.
- 미국에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1만명 이상 증가했습니다. 특히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대화재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증가하면서 캘리포니아주에서 신규로 실업보험을 청구한 사람은 5만 4천587명을 기록했습니다. 전주 대비 1만 3천74명 증가한 수치로 미국 전역 기준 미시간주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 업종별로 보면 기술이 1% 이상 떨어졌고 임의소비재와 통신서비스가 1% 가까이 밀렸습니다. 부동산과 유틸리티는 2% 넘게 올랐고 산업도 1%대 강세였습니다.
-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3월 금리인하 확률은 29.2%를 기록했습니다. 전날 마감 무렵의 28.9%와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1월 동결 확률은 97.3%를 유지했습니다.
-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48포인트(2.98%) 오른 16.60을 기록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미국증시 시황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주간 전망] 1월 4주차 금주 주간 전망 및 주요 일정 총정리 (2) | 2025.01.20 |
---|---|
20일 트럼프 취임 기대 효과 및 물가 불안 완화 미국증시 상승 (1) | 2025.01.18 |
12월 CPI 예상치 하회 및 둔화에 투심 살아나며 미국증시 상승 (1) | 2025.01.16 |
12월 PPI 예상치 하회 및 15일 CPI 발표 전 미국증시 혼조세 (2) | 2025.01.15 |
우량주 저가 매수세 유입에 낙폭 줄이며 미국증시 혼조세 (0) | 2025.01.14 |
댓글